*블로그 시험 운영 중입니다. 수정 중인 원고이니 읽기만 해 주세요.
인기있는 스포츠 선수의 천문학적인 수입은 정당한가?
마이클 샌델은 그의 저서 "능력주의의 폭정: 공동선은 어떻게 되었나?_The Tyranny of Merit: What's Become of the Common Good?"에서 능력주의와 불평등의 맥락에서 응분_desert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이 책에서 샌델은 현대 사회에서 성공의 윤리, 특히 재능, 기술, 노력과 같은 '능력'을 갖춘 사람이 성공한다는 개념을 면밀히 검토합니다.
샌델은 시장 경제에서 기술과 재능으로 뛰어난 성과를 내는 사람은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는 가정에 결함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샌델은 개인의 재능과 노력에 상응하는 보상이 주어지는 능력주의 시스템 하에서는 재능 있는 스포츠 선수의 수입이 정당하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응분_desert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또한, 그는 시장이 재능과 노력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중립적이거나 공정한 메커니즘이라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그가 제시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사람들이 버는 돈이 사회적 공헌의 척도라는 생각은 잘못되었다.
2. 운과 우연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해도, 시장 보상이 반드시 그 사람이 사회에 기여한 진정한 가치를 반영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주장은 능력주의에 대한 샌델의 비판과 가치와 성공에 대한 시장 중심의 이해를 반영합니다. 샌델은 재능과 같이 개인의 성공에 기여하는 많은 요소는 대개 노력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요소만을 기준으로 가치를 부여하거나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시장 보상이 항상 개인의 실제 사회 기여도를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샌델은 아마도 재능 있는 스포츠 선수가 큰 부를 얻을 수는 있지만, 그것이 반드시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부를 가질 자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할 것입니다. '응분_desert'의 개념은 더 복잡하며 개인의 재능이나 시장 가치 이외의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시장
그는 가치 있는 모든 것이 시장 규범의 적용을 받을 수 있거나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재화와 사회적 관행이 시장화될 경우 부패하거나 타락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그의 저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시장의 도덕적 한계"라는 저서에서 샌델은 시장 메커니즘이 원래 속하지 않는 삶의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에 반대한다고 주장합니다:"시장에 대한 질문은 사실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우리는 모든 것이 판매되는 사회를 원합니까? 아니면 시장이 존중하지 않고 돈으로 살 수 없는 도덕적, 시민적 재화가 있을까요?" - 마이클 샌델, "돈으로 살 수 없는 것"(203쪽)"시장은 단순한 메커니즘이 아니라 특정 규범을 구현합니다. 시장은 교환되는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특정 방식을 전제하고 또한 이를 촉진합니다." - 마이클 샌델, "돈으로 살 수 없는 것"(110쪽)
이 인용문에서 우리는 샌델의 비판이 시장이 자격이나 응분을 제대로 반영하는지 여부를 넘어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시장의 규범적 영향력, 즉 시장이 가치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가치를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합니다.
샌델은 시장 실패와 관련하여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그 중 하나는 공공장소 및 이벤트에 대한 명명권 판매인데, 샌델은 이를 공공생활의 타락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는 공공장소의 이름이 최고가 입찰로 인해 기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면 해당 공간의 의미와 목적(또는 '텔로스')이 바뀐다고 주장합니다.
그가 언급한 또 다른 예는 영리 교육 산업입니다. 샌델은 교육에 시장 규범이 침투하면 배움의 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는 교육이 상품으로 취급되면 교육이 더 이상 사회에 이익이 되는 공공재가 아니라 개인에게 이익이 되는 사적 재화로 간주된다고 주장합니다.
결론적으로 샌델은 사막을 더 잘 반영하도록 시장을 조정하는 것만이 사막의 결함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그의 비판은 시장의 규범적 효과와 시장 규범이 특정 재화와 사회적 관행을 부패시키거나 타락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샌델에 대한 비판과 재반박(Rebuttal)
1. 실용적인 해결책의 부족: 비평가들은 샌델의 공동체주의가 공공 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합니다. 샌델은 자유주의, 자유주의, 시장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제기하지만, 항상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 메커니즘만으로 가치를 결정해서는 안 된다면 어떻게 가치를 부여해야 할까요?
Rebuttal: 샌델은 철학자로서 자신의 주된 역할은 특정한 정책 처방을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것이라고 대답할 수 있습니다. 샌델은 정의, 윤리, 가치에 대한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는 것이 보다 공평하고 만족스러운 사회 구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2. 다원주의의 문제: 비평가들은 다양한 사회에서 다양한 사회 제도의 '공동선' 또는 '텔로스'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는 것은 복잡하고 잠재적으로 분열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 다른 문화적, 종교적, 개인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다문화 사회에서 특히 문제가 됩니다.
Rebuttal: 샌델은 그의 저서에서 이 문제를 다루면서 시민들이 공통의 가치와 사회 제도의 목적에 대해 토론하고 형성할 수 있는 공적 담론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다양한 제도의 '텔로스'에 대한 민주적 심의가 공동체 의식과 공동 책임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자유주의적 입장에서 민주적 심의가 자유로운 합의에 기반하여 정당화된다는 입장과는 결을 달리하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3. 개인의 권리에 대한 위협: 비평가들은 샌델이 공동체와 공동선을 강조하는 것이 개인의 권리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들은 공동체적 가치에 중점을 두면 소수의 권리를 희생시키면서 다수결이 지배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Rebuttal: 샌델은 개인의 권리를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그는 자유주의와 자유주의 철학이 개인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한다고 비판하지만, 개인의 권리를 없애자고 제안하지는 않습니다. 그는 오히려 이러한 권리가 공동선에 대한 고려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영어 버전
Michael Sandel has critically analyzed the question of desert in the context of meritocracy and inequality in his book "The Tyranny of Merit: What's Become of the Common Good?". In the book, Sandel scrutinizes the ethics of success in contemporary society, especially the notion that the successful are those who have 'merit' - such as talent, skill, and hard work.
While acknowledging that a talented sports player's earnings might be viewed as justifiable under a meritocratic system where individual rewards correspond to individual talents and efforts, Sandel challenges this interpretation of desert. He contests the idea that markets are neutral or just mechanisms for rewarding talent and hard work.
He argues that the assumption that those who excel in the market economy due to their skills and talents fully deserve their rewards is flawed.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is:
1. The notion that the money people make is the measure of their societal contribution is a mistake.
2. Even if we could overcome the problem of luck and chance, market rewards don't necessarily reflect the true value of a person's contribution to society.
These arguments reflect Sandel's critique of meritocracy and the market-driven understanding of value and success. He emphasizes that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a person's success, like talent, are often unearned, and it's therefore problematic to assign worth or desert based solely on these factors. Also, market rewards do not always reflect a person's actual contribution to society.
In conclusion, Sandel would likely argue that while a talented sports player may earn great wealth,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deserve it more than others. The notion of 'desert' is more complex and should consider factors beyond an individual's talents or market value.
Market
He emphasizes that not everything of value can or should be subject to market norms and that certain goods and social practices can be corrupted or degraded if marketized.
In his book, "What Money Can't Buy: The Moral Limits of Markets", Sandel argues against the expansion of market mechanisms into spheres of life where they don't belong:"The question of markets is really a question about how we want to live together. Do we want a society where everything is up for sale? Or are there certain moral and civic goods that markets do not honor and money cannot buy?" - Michael Sandel, "What Money Can't Buy" (p. 203)"Markets are not mere mechanisms; they embody certain norms. They presuppose, and also promote, certain ways of valuing the goods being exchanged." - Michael Sandel, "What Money Can't Buy" (p. 110)
From these quotes, we can see that Sandel's critique extends beyond whether markets properly reflect entitlement or desert. He expresses concern about the normative impact of markets – how they not only reflect values but also shape them.
When it comes to market failures, Sandel discusses several examples. One is the selling of naming rights to public spaces and events, which he sees as a corruption of public life. He argues that when public spaces are named after corporations due to the highest bid, it alters the meaning and purpose (or 'telos') of those spaces.
Another example he discusses is the for-profit education industry. Sandel suggests that the intrusion of market norms into education can degrade the value of learning. He argues that when education is treated as a commodity, it is no longer seen primarily as a public good that benefits society, but rather as a private good benefiting individuals.
In conclusion, Sandel would likely argue that adjusting markets to better reflect desert is not the only solution to their deficiencies. His critique focuses on the normative effects of markets and the potential for market norms to corrupt or degrade certain goods and social practices.
Counter-arguments and Rebuttals
1. Lack of Practical Solutions: Critics argue that Sandel's communitarianism often falls short in offering practical solutions for public policy. While Sandel raises significant concerns about liberalism, libertarianism, and markets, he does not always provide concrete alternatives. For example, if we shouldn't determine value solely based on market mechanisms, how should we assign value?
Rebuttal: Sandel might respond that his primary role as a philosopher is to challenge prevailing assumptions and prompt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to propose specific policy prescriptions. He may argue that raising the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justice, ethics, and value is a crucial first step towards developing more equitable and fulfilling societal structures.
2. The Problem of Pluralism: Critics point out that in diverse societies, reaching a consensus about the 'common good' or 'telos' of various social institutions is complex and potentially divisive.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in multicultural societies where people have different cultural, religious, and personal values.
Rebuttal: Sandel has addressed this in his work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public discourse where citizens can debate and shape their common values and the purpose of social institutions. He argues that democratic deliberation about the 'telos' of various institutions can help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nd shared responsibility.
3. Threat to Individual Rights: Critics argue that Sandel's emphasis on community and the common good might pose a threat to individual rights. They fear that a strong focus on communal values could lead to majority rule at the expense of minority rights.
Rebuttal: Sandel does not argue for the abandonment of individual rights. He critiques liberal and libertarian philosophies for their overemphasis on individualism, but he doesn't propose doing away with individual rights. He rather suggests that these rights should be balanced with considerations of the common good.
Bibliography:
Sandel, Michael J. The tyranny of merit: What's become of the common good?. Penguin UK, 2020.
Sandel, Michael J. What money can't buy: the moral limits of markets. Macmillan, 2012.
'Philoso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awson's Reactive Attitudes. 스트로슨의 반응적 태도. (0) | 2023.07.07 |
---|---|
로널드 드워킨의 정의론 (0) | 2023.06.26 |
덕윤리와 결과주의의 관계 (0) | 2023.06.26 |
Julia Driver의 철학적 관점: 결과주의와 덕윤리의 통합 (0) | 2023.06.26 |
공동체주의와 마이클 샌델의 자유주의 비판: "무연고적 자아_Unencumbered Self"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