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시험 운영 중입니다. 글들이 아직 충분히 편집된 상태가 아닙니다. 읽기만 하시고, 공유하지 말아주세요.
덕이론의 잘 살기의 강조와의 비교
로널드 드워킨은 "고슴도치를 위한 정의"에서 가치의 통일성(unity)을 강력하게 옹호합니다. 이는 본질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가치(도덕적, 미적, 도구적, 내재적 등)가 모두 서로 연결된 하나의 큰 체계의 일부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그는 윤리, 법, 정의, 정치에 대한 질문과 좋은 삶을 사는 방법에 대한 질문을 깔끔하게 분리할 수 없으며, 이러한 질문은 모두 상호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가치의 통일성
"고슴도치를 위한 정의"에서 로널드 드워킨은 자신의 철학적 접근 방식의 중심 신조인 '가치의 통일성'이라는 개념을 제안합니다. 그는 윤리적, 도덕적, 정치적 가치가 서로 경쟁하는 이질적인 집합이 아니라 일관되고 상호 의존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고 주장합니다. 다음은 간략한 개요입니다:
1. 가치의 상호의존성: 드워킨은 모든 가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도덕적 의무, 개인 윤리, 정의, 진리의 개념은 독립적인 영역이 아니라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이 모든 것이 '잘 사는 것'이라는 큰 것의 한 측면이기 때문입니다.
드워킨은 가치의 상호의존성을 주장함으로써 독립적이고 잠재적으로 상충하는 가치가 많다고 믿는 다원주의자와 궁극적인 가치는 하나라고 주장하는 일원론자 사이의 철학적 논쟁을 다루고 있습니다. 드워킨은 모든 가치가 하나의 통합된 개념인 '잘 사는 것'의 한 측면이라는 일종의 미묘한 단일론을 제안합니다. 그는 다원주의가 해결할 수 없는 갈등과 모순을 초래할 수 있다고 비판합니다.
2. 중심 가치로서의 잘 사는 삶: 드워킨의 궁극적인 가치는 "잘 사는 것"입니다. 존엄성, 자존감, 진정성, 정의 등 다른 모든 원칙이 이 중심 개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원칙은 가치의 통일성을 요약합니다.
드워킨은 '잘 사는 것'을 핵심 가치로 제안하면서 무엇이 '좋은 삶' 또는 '유다이모니아'를 구성하는지에 대한 논쟁에 뛰어들었습니다. 이 논쟁은 고대 철학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드워킨은 쾌락주의(쾌락이나 행복이 최고의 선이라는 생각)와 도덕적 덕만으로 좋은 삶을 규정하는 이론을 모두 비판적으로 논의합니다. 그는 개인의 성취와 도덕적 책임을 모두 포함하는 보다 총체적인 삶의 개념을 제안합니다.
3. 가치의 해석과 창조: 드워킨은 개인이 좋은 삶을 추구하면서 가치를 해석하고 창조한다고 가정합니다. 각 개인은 자신의 삶의 맥락에서 이러한 가치를 이해할 책임이 있습니다.
드워킨은 개인이 가치를 해석하고 창조한다고 주장하면서 객관적인 도덕적 사실을 믿는 도덕적 실재론자와 이를 부정하는 도덕적 반실재론자 사이의 논쟁에 참여합니다. 그는 도덕적 진리의 존재를 주장하면서도 개인의 해석과 창의성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도덕에 대한 지나치게 독단적이거나 경직된 접근 방식을 거부합니다.
4. 도덕과 정의: 드워킨은 정의의 영역에서도 개인의 도덕성과 정치적 정의는 별개의 실체가 아니라 깊이 얽혀 있다고 주장합니다. 정의는 단순히 외부의 구조(external construct)가 아니라 개인의 행동에도 지침이 되어야 합니다.
드워킨은 개인적 도덕과 정치적 정의의 통일성을 주장하면서 이 두 영역의 일반적인 구분 방식에 도전합니다. 이는 사회의 기본 구조에 적용되는 '정의에 대한 정치적 개념'과 개인의 행위를 안내하는 '포괄적 교리'를 구분*하는 존 롤스 같은 정치철학자에 대한 반응입니다. 드워킨은 이러한 구분은 개인 윤리와 정치 윤리 사이의 깊은 상호 연관성을 포착하지 못한다고 주장합니다.
존 롤스는 그의 저서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정의에 대한 정치적 개념"과 "포괄적 교리"의 차이점을 소개했습니다. 정의에 대한 정치적 개념은 자유롭고 평등하며 합리적인 개인이 합의할 수 있는 정의의 기본 권리, 의무 및 원칙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일종의 사회 계약입니다. 이러한 정치적 개념은 특히 사회의 '기본 구조'에 적용되는데, 롤즈는 기본적 권리와 의무를 분배하고 사회적 협력으로 인한 이익의 분배를 결정하는 주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제도로 정의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포괄적 교리는 좋은 삶과 좋은 사회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도덕적, 철학적 또는 종교적 견해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교리는 단순한 정치 구조뿐만 아니라 삶의 의미, 우주의 본질, 도덕적 가치, 미학, 기타 철학적 또는 종교적 신념에 대한 견해를 포함합니다. 롤즈는 잘 정돈된 민주주의 사회(well-ordered democratic society)는 시민들이 서로 다르고 잠재적으로 상충될 수 있는 포괄적인 교리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를 '합당한 다원주의의 사실'(the 'fact of reasonable pluralism')이라고 불렀습니다. 그의 해결책은 서로 다른 포괄적 교리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이 지지할 수 있는 정의에 대한 정치적 개념을 제안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정의에 대한 정치적 개념은 "자립적(freestanding)"이며, 그 정당화(justification)는 특정한 포괄적 교리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종교적, 도덕적, 철학적 신념을 가진 개인이 정치 및 사회 제도를 지배하는 일련의 기본 정의 원칙에 동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종교적 신념이나 특정 철학 체계 등 하나의 포괄적인 교리에 정치 질서의 기반을 두려는 일부 전통적인 견해에서 크게 벗어난 것입니다. 롤스의 접근 방식은 다양하고 다원적인 사회에서 시민의 자유와 평등을 존중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
가치의 통일성을 옹호하기 위해 드워킨은 가치에 대한 단절되거나 구획된 관점은 우리 삶에서 가치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가정합니다. 드워킨은 개인 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완전히 분리하거나 진리, 정의 또는 도덕의 측면을 모순 없이 구획화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드워킨은 또한 도덕적 회의론에 반대하여 도덕적 진리는 분별하기 어렵더라도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드워킨의 관점은 종종 (자유지상주의 등이 아닌) 자유주의적 평등주의로 분류됩니다. 자유주의적 평등주의는 모든 개인의 고유한 존엄성과 동등한 가치를 옹호하며, 법과 제도에서 이러한 원칙을 존중하는 정의로운 사회를 주장하는 관점입니다.
존엄성에 대한 드워킨의 이해는 그가 '존엄성의 두 가지 원칙'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해석과 관련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내재적 가치의 원칙으로, 각 생명은 본질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잘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개인적 책임의 원칙으로, 각 개인은 자신의 삶을 실패가 아닌 성공적인 성과로 만들어야 할 개인적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다른 윤리적, 정치적 관점과 대조됩니다. 예를 들어,
1) 칸트는 개인의 내재적 존엄성을 강조하면서도 주로 우리가 서로에게 갖는 도덕적 의무에 초점을 맞추었고, 가치에 기반한 윤리가 아닌 의무론적(의무에 기반한) 윤리를 제시했습니다.
2) 정치 철학자인 롤즈는 사회와 제도의 구조를 우선시하여 공정성과 일차 재화(primary goods)의 평등한 분배에 기반한 정의 이론을 주장했습니다.
3) 덕윤리학자인 매킨타이어는 특정 전통과 공동체에 내재된 덕과 개별 인간 삶의 내러티브적 통일성을 중심으로 윤리 이론을 전개했습니다.
이러한 사상가들과 달리 드워킨은 우리 자신의 삶을 선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원칙이 정의와 법에 관한 사회적 결정을 이끄는 원칙이기도 하다고 주장함으로써 개인 윤리와 정치적 정의 사이의 간극을 메우려고 합니다.
따라서 드워킨이 강조하는 '잘 사는 것'과 '좋은 삶'은 덕 윤리를 연상시키는 것처럼 들릴 수 있지만, 그의 철학적 관점은 상당히 다릅니다. 그는 존엄성과 평등이라는 기본 원칙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원칙을 사용하여 개인 윤리와 정치 철학의 광범위한 문제를 다룹니다. 그의 이론은 윤리, 법, 정치가 통합된 이론으로, 기존의 단일 윤리 이론 범주에 깔끔하게 들어맞지 않습니다.
드워킨 대 칸트:
공리주의 윤리학의 핵심 인물인 임마누엘 칸트는 도덕은 의무에 근거하며, 행위는 정언명령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따라 도덕적으로 옳고 그름이 결정된다고 믿었습니다. 여기에는 인간을 단순히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목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칸트에게 존엄성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합리성과 자율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드워킨의 이론은 의무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잘 사는 것과 타인을 정당하게 대하는 것을 연결하는 존엄성의 원칙에 중점을 둡니다. 그는 각 삶의 내재적 가치와 성공적인 삶을 위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합니다. 칸트와 드워킨은 모두 존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칸트는 존엄성을 인간의 이성적 자율성에 뿌리를 둔 것으로 보는 반면, 드워킨은 존엄성을 각 개인의 삶의 본질적 가치와 잘 살아야 할 의무와 연관된 것으로 봅니다.
드워킨 대 롤스:
존 롤스는 정의론에서 공정성과 평등이라는 개념을 강조하며 사회의 기본 구조가 가장 취약한 계층에게 이익이 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정의의 원칙에 도달하기 위해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사고 실험을 사용합니다.
드워킨도 평등을 옹호하지만, 그의 접근 방식은 각 개인의 고유한 존엄과 가치라는 원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드워킨에게 평등의 개념은 주로 자원이나 기회를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삶의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입니다.
드워킨 대 매킨타이어:
앨러스데어 매킨타이어는 공동체주의자이자 미덕 윤리학자로, 우리의 도덕적 삶을 형성하는 데 있어 공동체, 전통, 내러티브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에게 덕이란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 따라 결정되는 우리의 텔로스 또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해주는 자질입니다.
반면 드워킨은 자신의 윤리 이론을 특정 공동체나 전통에 뿌리를 두지 않습니다. 그는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존엄성 원칙이 있다고 믿습니다. '잘 사는 것'에 대한 그의 관점은 특정 전통 내의 특정 텔로스가 아니라 모든 생명의 내재적 가치를 존중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성공으로 이끌어야 하는 보편적 의무와 연결됩니다.
요약하자면, 드워킨의 이론은 이러한 다른 이론들과 몇 가지 우려를 공유하지만, 존엄성과 가치의 통일성을 중심으로 한 윤리와 정치 철학의 독특한 결합은 개인 윤리, 정의, 법의 문제에 대한 뚜렷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롤즈 정의론과의 비교
존 롤스와 로널드 드워킨은 모두 영향력 있는 법철학자였지만, 그들의 정의론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자세한 비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평등의 개념:
- 롤스: 롤스는 공정성으로서의 정의 이론에서 정의의 두 가지 원칙을 제시했는데, 그 중 두 번째 원칙은 차이의 원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원칙은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허용하지만, 그 불평등이 사회의 가장 취약한 구성원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만 허용합니다. 모든 사람, 특히 최하위 계층에게 이익이 되는 정의로운 사회 구조를 구축하자는 것입니다.
- 드워킨: 이와는 대조적으로 드워킨은 개인이 인생에서 동등한 출발점을 가져야 하며, 모든 불평등은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상황보다는 개인의 선택에서 비롯되어야 한다는 자원의 평등성을 강조합니다. 드워킨의 핵심 관심사는 사람들의 삶을 악화시키는 선택하지 않은 상황의 영향을 제거하고 자원의 평등한 분배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2. 포괄적인 교리와 정치적 개념:
- 롤스: 롤스는 정의에 대한 정치적 개념(공공, 정치, 사회 제도를 지배하는 규칙)과 포괄적 교리(개인의 도덕적, 철학적, 종교적 신념)를 명확하게 구분합니다.
- 드워킨: 드워킨의 이론은 개인적 윤리와 정치적 윤리가 깊이 얽혀 있다고 주장하는 보다 통합적인 이론입니다. 그는 정의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좋은 삶에 대한 이해를 분리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롤즈의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의 구획을 거부합니다.
3. 인격(the Person)의 개념:
- 롤스: 롤스는 시민을 자유롭고 평등한 도덕적 인격체로서 좋은 삶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존재로 상정합니다. 그는 합리적 개인이 자신의 개인적 상황에 대한 지식 없이 무지의 베일 뒤에서 정의의 원칙을 결정하는 가상의 원초적 입장을 구축합니다.
- 드워킨: 드워킨은 또한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지만 이를 개인의 책임과 연결시킵니다. 그는 삶의 목표가 우리의 가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진정으로 우리 자신의 삶을 만들고, 그 삶에 대해 책임을 지는 '도전 모델'을 강조합니다.
4.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합의에 대한 접근 방식:
- 롤스: 롤스는 다양한 포괄적 교리를 가진 사람들이 사회의 정치 질서의 기초를 형성하는 특정 정의의 기본 원칙에 동의할 수 있는 '중첩적 합의'라는 개념을 제안합니다.
- 드워킨: 반면 드워킨은 합의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진정한 도덕적 진실의 중요성(the importance of genuine moral truth)을 강조합니다. 그는 도덕적 판단의 해석적 성격을 강조하고 정의의 근거를 '잘 사는 것(Living Well)'이라는 더 넓은 개념에 두려고 합니다.
요약하자면, 드워킨과 롤스는 모두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존중하는 정의의 원칙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러나 평등에 대한 개념, 선과 권리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덕적 다원주의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사회 제도의 정의에 미치는 영향은 심오하고 다양하며, 분배적 정의, 정치에서 개인 윤리의 역할, 다양한 사회에서 합의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In "Justice for Hedgehogs," Ronald Dworkin offers a robust defense of the unity of value. This essentially means that the many different types of value (moral, aesthetic, instrumental, intrinsic, etc.) are all part of one big, interconnected system. Therefore, he contends, we can't neatly separate questions of ethics, law, justice, and politics from questions of how to live a good life; these questions are all interrelated.
unity of value
In "Justice for Hedgehogs," Ronald Dworkin proposes the concept of the "unity of value," which is a central tenet of his philosophical approach. He argues that ethical, moral, and political values aren't a disparate set of competing entities but instead form a coherent, interdependent network. Here is a brief overview:
1. Interdependence of Values: Dworkin argues that all values are interconnected. For instance, he asserts that concepts of moral duty, personal ethics, justice, and truth are not independent domains but mutually inform and influence one another. It's because they are all facets of one big thing, which is living well.
By arguing for the interdependence of values, Dworkin is addressing the philosophical debate between pluralists, who believe that there are many independent and potentially conflicting values, and monists, who maintain there is one ultimate value. Dworkin proposes a kind of nuanced monism where all values are facets of a single, unified concept—living well. He critiques pluralism, suggesting that it can lead to irresolvabl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2. Living Well as the Central Value: The ultimate value for Dworkin is "living well." This principle encapsulates the unity of value because every other principle - like dignity, self-respect, authenticity, justice, and so forth - is tied back to this central idea.
In proposing "living well" as the central value, Dworkin enters the debate about what constitutes the 'good life' or 'eudaimonia'. This debate spans back to ancient philosophy and continues today. Dworkin critically discusses both hedonism (the idea that pleasure or happiness is the highest good) and theories that identify the good life with moral virtue alone. He proposes a more holistic conception of living well that incorporates both personal fulfillment and moral responsibility.
3. Interpreting and Creating Values: Dworkin posits that individuals interpret and create values in their pursuit of living a good life. Each person bears the responsibility to make sense of these values in the context of their own life.
In arguing that individuals interpret and create values, Dworkin engages with the debate between moral realists, who believe in objective moral facts, and moral anti-realists, who deny this. While he insists on the existence of moral truth, he also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interpretation and creativity, rejecting overly dogmatic or rigid approaches to morality.
4. Morality and Justice: Even in the realm of justice, Dworkin maintains that personal morality and political justice aren't separate entities, but deeply interwoven. Justice isn't merely an external construct but should also guide personal conduct.
In asserting the unity of personal morality and political justice, Dworkin challenges the common distinction between these domains. This is a response to political philosophers like John Rawls who distinguish between a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that applies to society's basic structure and a 'comprehensive doctrine' that guides individual conduct. Dworkin argues that this kind of compartmentalization fails to capture the deep interconnections between personal and political ethics.
John Rawls, in his work "Political Liberalism," introduced the distinction between a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and a "comprehensive doctrine." The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is a kind of social contract that outlines the basic rights, duties, and principles of justice that would be agreed upon by free, equal, and rational individuals. This political conception applies specifically to the "basic structure" of society, which Rawls defines as the major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ions that distribute fundamental rights and duties and determine the division of advantages from social cooperation. In contrast, a "comprehensive doctrine" refers to a broader, more encompassing moral, philosophical, or religious view about what constitutes a good life and a good society. These doctrines address more than just political structure; they include views on the meaning of life, the nature of the universe, moral values, aesthetics, and other philosophical or religious beliefs. Rawls argued that a well-ordered democratic society could be stable and enduring despite the fact that its citizens held different and potentially conflicting comprehensive doctrines. He called this the fact of "reasonable pluralism". His solution was to propose a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that could be endorsed by all citizens regardless of their differing comprehensive doctrines. This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would be "freestanding" - its justification would not depend on any particular comprehensive doctrine. This allows for individuals with diverse religious, moral, and philosophical beliefs to agree on a set of basic principles of justice that govern their political and social institutions. This is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some traditional views which try to base political order on a single comprehensive doctrine, whether it be a specific religious belief or a particular philosophical system. Rawls' approach is designed to respect the freedom and equality of citizens in a diverse, pluralistic society. |
As for defending the unity of value, Dworkin posits that a disunited or compartmentalized view of values fails to account for their interplay in our lives. Dworkin contends that we cannot completely separate our personal ethics from our societal responsibilities or compartmentalize aspects of truth, justice, or morality without contradictions. Dworkin also argues against moral skepticism, asserting that moral truth exists, even if it's challenging to discern.
liberal egalitarian
Dworkin's perspective is often classified as liberal egalitarian, not libertarian. It's an outlook that upholds the inherent dignity and equal worth of all individuals, arguing for a just society that respects these principles in its laws and institutions.
Dworkin's understanding of dignity is tied to his interpretation of what he calls the "two principles of dignity". The first is the Principle of Intrinsic Value, which suggests that each life is intrinsically valuable and must be lived well. The second is the Principle of Personal Responsibility, which implies that each person has a personal responsibility to make their life a successful performance rather than a failure.
This approach contrasts with other eth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For example:
1) Kant, while also emphasizing the inherent dignity of individuals, focused primarily on the moral duties we have to one another, and offered a deontological (duty-based) rather than value-based account of ethics.
2) Rawls, a political philosopher, prioritized the structure of society and its institutions, arguing for a theory of justice based on fairness and the equal distribution of primary goods.
3) MacIntyre, a virtue ethicist, centers his ethical theory around the virtues that are embedded within particular traditions and communities, and the narrative unity of individual human lives.
Unlike these thinkers, Dworkin attempts to bridge the gap between personal ethics and political justice by arguing that the principles that guide us in making our own lives good are also the principles that should guide societal decisions about justice and law.
Therefore, although Dworkin’s emphasis on "living well" and a "good life" might sound reminiscent of virtue ethics, his philosophical perspective is quite different. His focus is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ignity and equality, and he uses these principles to address a broad range of issues in both personal ethics and political philosophy. His is an integrated theory of ethics, law, and politics that does not fit neatly into any single established category of ethical theory.
Dworkin vs. Kant:
Immanuel Kant, a key figure in deontological ethics, believed that morality was grounded in duty, and that actions are morally right or wrong based on whether they respect the categorical imperative. This includes treating humans as ends in themselves, never merely as means to an end. Dignity, for Kant, is inherently tied to our rationality and autonomy.
In contrast, Dworkin's theory is not duty-based but centered on principles of dignity that connect living well with treating others justly. He emphasizes the intrinsic value of each life and personal responsibility for making one's life a successful performance. Both Kant and Dworkin value dignity, but while Kant sees dignity as rooted in our rational autonomy, Dworkin sees it as tied to the intrinsic value of each individual life and the obligation to live well.
Dworkin vs. Rawls:
John Rawls, in his theory of justice, emphasizes the idea of fairness and equality, proposing that the basic structure of society should be arranged to benefit the least advantaged. He uses a thought experiment, the "original position" and "veil of ignorance," to arrive at principles of justice.
Dworkin also advocates for equality, but his approach is rooted in the principle of the inherent dignity and value of each individual life. For Dworkin, the concept of equality is not primarily about distributing resources or opportunities, but about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intrinsic value of each person's life.
Dworkin vs. MacIntyre:
Alasdair MacIntyre is a communitarian and a virtue ethicist, focusing on the role of community, tradition, and narrative in shaping our moral lives. For him, virtues are those qualities that enable us to achieve our telos or purpose, as determined by our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Dworkin, on the other hand, does not root his ethical theory in specific communities or traditions. He believes that there are universal principles of dignity that apply to all people, regardless of their cultural or historical context. His view of "living well" is not tied to a specific telos within a particular tradition, but to a universal obligation to make one's life a success by respecting the intrinsic value of all life.
In sum, while Dworkin's theory shares some concerns with these other theories, his unique blend of ethical and political philosophy, centered on principles of dignity and the unity of value, offers a distinct perspective on questions of personal ethics, justice, and law.
John Rawls and Ronald Dworkin
John Rawls and Ronald Dworkin were both immensely influential legal philosophers, but their theories of justice ha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Here's a detailed comparison:
1. The Conception of Equality:
Rawls: In his theory of justice as fairness, Rawls proposes two principles of justice, the second of which is known as the difference principle. This principle allows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ies, but only if they benefit the least advantaged members of society. The idea is to establish a just structure for society that is to everyone’s advantage, especially those at the bottom.
Dworkin: In contrast, Dworkin emphasizes equality of resources, where individuals should have an equal starting point in life, and any inequalities should derive from choices individuals make rather than from circumstances beyond their control. For Dworkin, the central concern is to remove the impact of unchosen circumstances that make people's lives go worse and secure an 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2. Comprehensive Doctrines and Political Conceptions:
Rawls: Rawls maintain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rules that govern our public, political, and social institutions) and comprehensive doctrines (individual’s moral, philosophical, and religious beliefs).
Dworkin: Dworkin's theory is more integrative, insisting that personal and political ethics are deeply interwoven. He rejects Rawls's compartmentalization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arguing that it's not possible to separate our understanding of justice from our understanding of the good life.
3. Conception of the Person:
Rawls: Rawls envisages citizens as free and equal moral persons, capable of forming a conception of the good life and of acting autonomously to achieve it. He constructs a hypothetical original position where rational individuals decide on principles of justice from behind a veil of ignorance, without knowledge of their personal circumstances.
Dworkin: Dworkin also respects individual autonomy but connects it with personal responsibility. He places emphasis on the "challenge model," where the aim of life is to reflect critically upon our values, make a life for ourselves that is authentically ours,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at life.
4. Approach to Consensus in a Pluralistic Society:
Rawls: Rawls proposes a concept of "overlapping consensus," where people with diverse comprehensive doctrines may still agree on certain fundamental principles of justice that form the basis of the society's political order.
Dworkin: Dworkin, on the other hand, while recognizing the value of consensu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enuine moral truth. He stresses the interpretive nature of moral judgments and seeks to ground justice in a broader conception of living well.
In summary, both Dworkin and Rawls aim to articulate principles of justice that respect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However, they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conceptions of equality,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od and the right, and their approach to the problem of moral pluralism. The implications of these differences for the justice of social institutions are profound and varied, impacting how we think about distributive justice, the role of personal ethics in politics, and the nature of consensus in a diverse society.
Dworkin, R. (2011). Justice for Hedgehogs. Belknap Press.
Leiter, B. (2014). "The Radicalism of Legal Positivism," in Dworkin and His Critics. Wiley-Blackwell.
Ripstein, A. (2007). "Beyond the Harm Principle," in Philosophy & Public Affairs.
Cohen, G.A. (2011). On The Currency of Egalitarian Justice, and Other Essays in Political Philoso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Nozick, R. (1974).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MacIntyre, A. (2007).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Rawls, J. (1971). A Theory of Justice. Belknap Press.
Waldron, J. (2012). Dignity, Rank, and Rights. Oxford University Press.
'Philoso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ttingness conditions. 적합성 조건. (0) | 2023.07.07 |
---|---|
Strawson's Reactive Attitudes. 스트로슨의 반응적 태도. (0) | 2023.07.07 |
덕윤리와 결과주의의 관계 (0) | 2023.06.26 |
Julia Driver의 철학적 관점: 결과주의와 덕윤리의 통합 (0) | 2023.06.26 |
마이클 샌델의 능력주의 비판과 "응분_desert" (0) | 2023.06.26 |